본문 바로가기
정치학ㆍ국제관계 이론과 개념

신현실주의, 세력균형론과 위협균형론 비교

by Keep Learner 2022. 7. 3.

오늘은 현실주의(Realism) 발전에 대해서 살펴볼텐데요.

구체적으로는 현실주의에서 신현실주의가 어떻게 발전했는지, 

그리고 신현실주의의 주요 이론인 세력균형론과 위협균형론이 어떻게 다른지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주요 내용

  - 고전적 현실주의 vs 신현실주의

  - 세력균형론 vs 위협균형론 

 

1. 고전적 현실주의(Classical Realism) : "인간의 본성에 의한 국가의 권력 추구"

 

마키아벨리, 토마스 홉스, 한스 모겐소 등을 통해 이어져온 현실주의는

"인간의 본성" 이 이기적이며 권력을 추구함에 따라

국가 역시 권력을 추구하며, 국가 이익 역시 국가의 권력 추구로 정의된다고 하였습니다.

 

이들에 의해 추구된 국제관계학의 현실주의를 "고전적 현실주의"라고 합니다.

 

2. 신현실주의(Neo-Realism) : "무정부상태의 모든 국가는 안보를 추구"

 

고전적 현실주의는 케네스 왈츠를 통해 이론적으로 정교화되었는데요.

왈츠가 정립한 현실주의의 이론을 신현실주의라고 합니다.

오늘날 현실주의는 대부분 왈츠의 신현실주의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왈츠에 대한 주석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왈츠의 신현실주의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 국체제제는 무정부 상태(international anarchy)이다.
  • 모든 국가는 기본적으로 안보를 추구하는 현상유지 국가(status-quo state)이다.
  • 그러나 국가는 서로를 불신하여 안보딜레마(security dilemma)가 발생하여 군비경쟁과 전쟁으로 이어진다.
  • 국제체제의 구조는 국제체제의 안정을 결정하는 변수이다.  양극체제(bipolarity)의 세력균형(balance of power)를 이룰 때 국제체제는 안정된다.

 

왈츠의 신현실주의는 국제체제의 평화를 유지하는 방법으로 양극체제를 제시했습니다.

강대국이 다수 존재하는 다극체제는 1900년대 초반 제1차 세계대전과 중반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이어진 반면,

2개의 강대국이 축을 이룬 양극체제의 냉전 시대는 강대국 간의 전쟁이 발발하지 않았다는 점이 이를 증명하죠.

 

3. 위협균형론(Balance of Threat Theory) : "세력균형론을 비판하며 발전시키다"

 

왈츠의 세력균형론은 국가간의 균형이 세력, 즉 힘(power)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봤습니다.

다시말해, 국력이 강한 국가에 대항하여 균형이 맞춰진다고 하였죠.

 

하지만 왈츠의 신현실주의를 계승한 스테픈 왈트(Stephen Walt)는 세력균형론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며

구체화하고 발전시킵니다. 이를 통해 주장한 이론이 바로 위협균형론이죠.

 

왈트 역시 왈츠와 마찬가지고 국가 간 균형(balance)이 주요한 현상이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힘이 강하다고 이에 대항하는 균형을 맺는 것은 무언가 설명이 부족하다고 생각해죠.

 

예를 들어서, 북한보다 미국이 훨씬 강하지만 대한민국은 북한과 미국에 대항하는 동맹을 맺지 않았죠?

오히려 그 반대입니다. 북한에 대항하여 훨씬 강한 미국의 손을 잡았습니다.

 

왜그럴까요?

가장 쉽게 생각할 수 있는 이유는 지리적 인접성입니다. 가까우면 그만큼 위협적이죠.

그래서 국경을 마주한 국가는 언제든지 침략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위협이 됩니다.

멀수록 위협이 되지 않죠. 그래서 기본적으로 미국보다는 중국이 대한민국에 위협이 되고,

중국보다도 북한이 더 위협이 되는 것이죠.

 

그리고 지리적 인접성에 더하여 이웃한 국가가 공격적인 무기를 많이 만들거나,

침략의 의도를 보인다면 그만큼 더 위협이 되겠죠?

 

예를 들어 일본이 상륙 능력을 갖춘 해병대를 확대하거나, 독도를 군사적으로 강점할 수도 있다고 

발언한다면, 우리는 일본을 더 위협적인 국가로 느끼겠죠?

 

지리적으로 가깝거나, 침략에 사용할 수 있는 공격적인 군사력을 가지고 있거나, 공격적인 의도를 가지고 있을 때 

더욱 위협적인 존재로 여기게 되고,

국가는 그런 위협적인 존재에 대항하여 균형을 이루는 동맹을 맺을 가능성이 클 것입니다.

 

바로 이것이 위협균형론입니다! 세력에 맞춰서 균형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국가는 위협에 맞춰서 균형을 이룬다고 주장한 것이죠,

 

위협균형론에서 왈트가 주장한 위협의 변수는 다음의 네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 전체적인 힘
  • 지리적 인접성
  • 공격적 군사력
  • 공격적 의도

 

오늘은 신현실주의 왈츠에 의해 어떻게 발전했으며, 왈트가 세력균형론을 위협균형론으로 어떻게 발전시켰는지 살펴보았습니다! 다음에는 신현실주의가 어떻게 방어적 현실주의와 공격적 현실주의로 분화되었고, 또 신현실주의에서 신고전적현실주의가 어떻게 발전하게 되었는지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

2023.11.17 - 강압, 억제, 강제의 구분

 

강압, 억제, 강제의 구분

강압(Coercion) vs 억제(Deterrence) vs 강제(Compellence) 저의 국제관계학 수업 첫 시간에 교수님께서 다짜고짜 학생들에게 뭔가 하기 싫은 것들을 시키셨습니다. 그리고 나서는 왜 그걸 했냐고 물어보시

international-relations.tistory.com

2023.12.27 - 내적 vs 외적 균형 & 경성 & 연성 균형

 

내적 vs 외적 균형 & 경성 & 연성 균형

내적균형 vs 외적균형 & 경성균형 vs 연성균형 균형(Balancing)은 국제관계학에서 굉장히 중요한 개념이죠. 특히, 신현실주의(Neo-realism)는 세력균형론-위협균형론-이익균형론 등 균형의 개념을 중심

international-relations.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