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COPUS2

초보 연구자의 SCOPUS 논문 쓰기 오늘은 SCOPUS 논문 쓰기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SCOPUS / SSCI / KCI에 대한 구분은 제 블로그에서 앞서 포스팅 한 "SSCI, SCOPUS, KCI 학술지 구분" 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국제관계와 정치학 연구자 중 공부를 국내에서 한 초보연구자는 영어로 논문 쓰기를 상당히 주저합니다. 그래서 박사 졸업 전까지 KCI 논문은 있어도 SCOPUS나 SSCI 논문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사회과학 분야는 이런 경향이 심하죠) 영문 논문 작성 경험이 한 번도 없는 연구자가 바로 SSCI 논문을 작성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처음에는 SCOPUS 저널에 논문을 게재하면서 경험과 자신감을 쌓아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초보연구자 입장에서 제가 처음 영문.. 2022. 8. 13.
SSCI, SCOPUS, KCI 학술지 구분 SSCI, SCOPUS, KCI 학술지 구분 연구의 가장 큰 매력은 전 세계의 모든 이들과 그 결과를 공유하고 함께 논의하며 또 나아가 나의 연구가 지구 반대편 누군가의 연구의 밑바탕이 되기도 하며 나도 다른 누구가의 연구를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을 쌓아 올린다는 것이다. 따라서 오늘날 연구는 전 세계 모든 이들의 공동 작업이며 각 분야에서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해 끊임없는 학문의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전 세계 학문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체계가 바로 Jounral, 즉 학술지이다. 학술지는 좋은 논문을 싣어서 더 많은 사람들이 그 학술지를 이용하게 만들고자 하며, 연구자들은 높은 명성을 지닌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여 더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논문을 읽게 만들고자 한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좋은 논.. 2022. 6. 26.